돈공부/주식

기업공개와 유상증자

Mosser 2022. 5. 8.
728x90
반응형

서론

지난 게시글에서는 주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그렇다면 기업에서 주식을 발행하기 위해서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업공개 (Initial Public Offering)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s%3A%2F%2Fwww.news18.com%2Fnews%2Fbusiness%2Fipo-next-week-delhivery-venus-prudent-to-issue-rs-6000-crore-public-offers-know-details-5132623.html&psig=AOvVaw2XIQVgU4EIhTmVIj08KAX_&ust=1652078249272000&source=images&cd=vfe&ved=0CAwQjRxqFwoTCKCKwKKlz_cCFQAAAAAdAAAAABAK

기업공개란 기업이 자본금을 조달 받기 위해서 외부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주식을 공개 매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코스닥 등의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업공개를 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건 회사의 경영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자세하게 알려주는 것입니다. 투자자들로부터 자본금을 조달 받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업이 투자를 할만한 기업인지에 대한 판단을 투자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 기준이 되는게 기업의 경영 정보나 회계 정보등이 되어야 합니다. 기업은 기업공개를 투명하게 해야만 할 의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업에 자본금이 굳이 필요하지 않다면 주식시장 등에 기업 공개를 할 의무는 없겠죠. 기업공개를 함으로써 시장으로부터 모든 경영이나 회계 등의 감시를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유상증자

기업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이미 기업이 기업공개를 진행한 후에, 자본금이 부족하다면 유상증자를 통해서 자본금을 추가로 조달 받을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 방식

주주 우선공모

새로운 주식을 발행 후, 주주들에게만 주식을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 공모

주주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공모주 청약을 통해 주식을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 3자 배정 방식

회사와 연관된 인원들에게만 주식을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주식에서의 대표적인 용어인 주당순이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돈공부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당순이익(EPS)란?  (0) 2022.09.04
주식이란 무엇인가?  (0) 2022.05.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