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유전체 연구에서 질병 위험도를 평가할 때 가장 기본적인 도구 중 하나가 Polygenic Risk Score (다유전자 위험 점수, PRS) 입니다.그런데, 여기서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유전적 변이(variant) 입니다.인간의 DNA는 약 30억 개의 염기서열(A, T, G, C)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은 사람마다 동일합니다. 하지만 약간씩 다른 부분이 존재하죠.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특정 위치에서 A를 가지고 있는데, 다른 사람은 같은 위치에 G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차이를 유전적 변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변이들이 쌓여서 결국 인간이나 생물의 다양한 모습(표현형) 을 만들어냅니다.우리가 부모님과 비슷한 DNA를 공유하면서도 생김새나 성격이 다른 이유 ..